Value Creator

우리 말의 대부분은 한자로 이루어져있습니다. 물론 한자가 중국에서 만들어진 글자이기는 하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한자를 우리의 언어체계에 맞게끔 잘 활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한자 또한 우리의 말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러나 요즘 학교에서는 한자를 많이 교육하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한글로만 된 글을 읽다 보니 한자를 잘 모르고, 결국 그 단어나 문장이 내포하는 뜻을 잘 모르기도 합니다. 그런 상황에서 아래와 같은 한자가 가득한 텍스트를 만났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대한민국 헌법 전문입니다. 대다수의 글들은 순 한글로 적혀 있지만 때떄로 이렇게 우리의 한자 실력을 의심하게끔 하는 고난이도의 글도 만나고는 합니다. 이럴 때 어떻게 한자를 읽을 수 있을까요? 그리고 이 문장의 뜻을 해석하고 이해할 수 있을까요? 오늘 글에서는 한글 프로그램에서 한자의 음을 표기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글 작업창에서 상단 보기 메뉴를 클릭합니다(1). 한자 발음 버튼에 마우스를 갖다가 대고 한자 발음 표시 버튼을 클릭합니다(2~3).

 

순식간에 수 많은 한자에 음이 표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헌법 전문이었군요! 그런데 글자가 너무 작은 것 같기도 합니다. 글자 색도 별로 마음에 들지 않구요. 어떻게 하면 바꿀 수 있을까요?

 

한자 발음을 표기할 때와 마찬가지로 [보기] - [한자 발음] 메뉴를 클릭해 줍니다(1~2). 그리고 나서 한자 발음 표시 설정을 클릭합니다(3).

 

한자 발음 표시 설정 대화상자에서 다양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1) 한자 발음의 표시 위치를 한자의 위와 아래로 수정할 수 있습니다. (2) 글꼴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한자 글꼴과 다른 글꼴을 사용한다면 눈에 더 잘 띄어서 가독성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3) 글꼴 크기 또한 다르게 지정할 수 있습니다. 크게-보통-작게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4) 글꼴색 또한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한자 발음의 표시 위치를 아래로, 글꼴을 나눔 고딕체로, 크기는 크게, 색을 파란 색으로 지정한 결과입니다. 여러분께서도 각자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발음의 위치, 크기, 색상을 조절해 보시기 바랍니다.

 

한편 한자 발음은 기본적으로 인쇄할 때는 표시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한자만 출력이 됩니다. 만약 한자 발음을 표시한 채로 출력해야 한다면 별도의 인쇄 설정을 진행해 주어야 합니다. 인쇄 버튼을 클릭합니다(1). 인쇄 대화상자의 확장 탭을 클릭합니다(2). 선택인쇄 메뉴에서 한자 발음 표시를 클릭해 줍니다(3). 이렇게 설정한 후 인쇄하면 한자는 물론 발음까지 함께 출력이 되니 많이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 글이 여러분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Value Creator.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