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트 분석 등의 기술적 분석으로 수익을 내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다. 차트분석으로 초과수익이 발생한다는 것과, 그렇게 초과수익을 지속적으로 내어서 시장을 이기는 사람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차트 분석은 인간의 시각적 사고(visual thinking)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충분히 주관이 개입될 수 있다. 그래서 차트분석으로 초과수익을 내기가 힘든 것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차트분석의 기준들을 객관화하고, 그렇게 설정한 기준에 따라서 기계적으로 매매하는 시스템 트레이딩을 해야 한다.
2. 캘린더 이례현상을 이용한 마켓타이밍 전략
* 캘린더 이례현상의 개념 : 시장 비효율성의 근거
주식시장의 움직임이 효율적 시장가설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랜텀워크로 움직여 주사위 던지기 처럼 결정된다면, 특정한 월, 특정한 날짜, 특정한 요일, 특정한 시간에 주가가 더 많이 오르거나 더 떨어지는 현상은 일어나지 말아야 한다. 하지만 실제의 주식시장에서는 특정한 날짜나 시간에 주가가 더 많이 오르거나 더 많이 떨어지는 현상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캘린더 이례현상'이라고 부른다.(196)
* 1월효과
1월 효과의 특징은 1월의 수익률이 다른 월의 수익률에 비해 높게 나타나며, 주로 소규모 기업에서 1월 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연초의 몇 일 동안에 집중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197)
이상과 같은 현상을 매매에 이용한다면, 여름휴가가 끝날 때쯤 보유 종목들을 처분하고 기다리다가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10월 말에 대형주를 매수하여 4분기 대형주의 강세를 취한다. 그 다음 연말의 폐장일이 다가오기 전에 대형주를 매도하여 연말효과를 피한다. 연말 폐장일에는 소형주를 매수하여 연초효과와 소형주의 1분기 랠리를 취하는 방식으로 거래한다. (202)
저자는 전통적인 1월효과는 사라졌다고 이야기한다. 대신 연말에는 대형주 강세가, 폐장 직전에는 폭락장이, 연초에는 소형주 강세장이 펼쳐짐을 발견한다.
* 요일효과 : 월요일에 낮은 수익률이 나타나고 주 후반으로 가면 높은 수익률이 나타나는 현상
월요일 종가에 매수해서 다음 주 월요일 시가에 매도하는 방법으로 거래를 반복함으로써 월요일의 장중 수익률 하락을 피했다면 2,336포인트(투자원금 대비 227%)의 수익을 얻을 수 있었다(207). 월요병의 우울한 심리와 주말이 다가올수록 활기차게 바뀌는 사람들의 심리가 주식시장에 비관과 낙관이라는 심리로 투영되면서 만들어지는 현상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207).
* 월중효과
그림을 보면 월초와 월말의 높은 수익률을 보이고 월 중간에는 낮은 수익률을 보이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상반월(1일~15일)의 평균 수익을(0.043%)이 하반월(16일~31일)의 평균 수익률(0.032%)보다 높은 현상도 나타난다(209). 매매전략은 26일 종가에 매수해서 다음달 4일의 종가에 매도하는 것으로 한다(209). 월중효과 전략으로 매매를 반복했을 때 누적수익은 3,294포인트이고, 종합주가지수의 매입보유 누적수익은 1,926포인트이다. 월중효과를 이용한 저냑은 단순 매입보유보다 71%나 만흥 수익을 발생시켰다. 장기간의 종합주가지수 데이터에 월중효과 전략을 적용해본 결론은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월말에 사서 월초에 팔아라"라는 투자격언은 아직까지 유용한 투자지침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210)
* 공휴일효과
4%에 해당하는 공휴일 전일의 주가 상승이 17년간 주식시장 상승의 절반 이상을 만들었다는 것은 그저 놀라울 따름이다. 공유일 효과를 이용한 매매전략은 단순하다. "공휴일 전에 매수하라. 그리고 공휴일이 지난 다음에 매도하라"(212)
* 일중효과
밤 수익률이 높게 나타나는 현상을 '시가효과'라고 하고 낮 수익률 중 장마감 시점에 수익률이 높게 나타나는 현상을 '일말효과'라고 한다. 그리고 이런 현상 모두를 일컬어서 '일중효과'라고 한다. (213) 밤수익률이 높게 나온 원인은 시가의 상승폭이 컸기 때문이 아니라 시가가 상승한 횟수가 하락한 횟수보다 많았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트레이딩 성과 측면에서는 당일 종가에 포지션을 청산하기 보다는 익일 시가에 청산하는 것이 더 높은 수익을 올리는 방법이었다.(216) 일말효과와 시가효과를 같이 이용하여 당일 13시 30분에 매수하고 다음날 시가에 매도하는 전략은 7,575.97포인트의 수익이 발생했다. 이 수치는 동기간 종합주가지수 상승폭(1,200.98)의 6배가 넘는 수치이다. 물론 거래비용을 포함할 경우 이 전략이 수익을 발생시키지는 못한다. 하지만, 데이트레이딩처럼 단기 거래를 하는 투자자들이 장중에 거래할 때 언제 매수해야 할지 그리고 언제 매도해야 할지에 대한 기준은 제시해줄 수 있을 것이다(219).